springboot 3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 Chapter 6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앞에서 스프링 컨텍스트, IoC 원칙 기반 DI에 대해서 설명DI를 통해 프레임워크가 사용자 정의 객체를 관리,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도록 요청빈을 참조하게 하려면 대부분은 @Autowired 애너테이션을 사용한다.스프링이 요청한 곳에 객체를 ‘주입한다’ -> 스프링 컨텍스트에서 이런 객체를 요청을 의미6장에는 IoC 원칙에 기반을 둔 애스펙트(aspects)의 사용 방법을 배움애스펙트 -> 프레임워크가 메서드 호출을 가로채고 그 메서드의 실행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실행 중인 메서드에 속한 로직 일부를 추출 가능특정 시나리오에서는 코드 일부를 분리해서 더 쉽게 이해 가능, 로직과 관련된 세부 사항에만 집중 가능6 장에서는 애스펙트를 구현 방법과 언제 사용..

CS/Spring 2025.08.07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 Chapter 5-1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 앞선 챕터 2, 3, 4에서는 빈 생성, 빈 간 관계 설정 (DI) , 추상화에 대해 다루었음.하지만 스프링이 빈을 언제 어떻게 생성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음 -> 프레임워크의 기본 방식에만 의존 이런 측면을 다루지 않은 이유는 프로젝트에서 우선 필요한 구문에 집중.BUT 프로덕션 앱의 시나리오는 복잡하며 프레임워크의 기본 동작에 의존 X , 확장의 필요성이 있음 따라서 챕터 5에서 스프링이 컨텍스트에서 빈을 관리하는 방법을 다룸 스프링에는 빈을 생성하고 수명 주기를 관리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음, 스프링 세계에서는 이런 접근 방식을 스코프(scope)라고 함챕터 5에서는 자주 나오는 두 가지 스코프인 싱글톤(singleton)과 프로토타입(pr..

CS/Spring 2025.08.07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 Chapter 2

Spring 개념 정리 ( by 스프링 교과서 )Chapter 2 스프링 컨텍스트 : 빈 정의스프링을 배우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있다. 바로 컨텍스트(context)와 빈(bean)이다. 스프링 컨텍스트란?스프링 컨텍스트는 흔히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ApplicationContext)"라고 불림.쉽게 말해, 스프링이 관리할 객체들을 담는 메모리 공간내가 만든 클래스라고 해도, 스프링 컨텍스트에 등록하지 않으면 스프링은 해당 객체의 존재를 모름즉, 객체를 스프링이 관리하게 하려면 먼저 컨텍스트에 등록해야 한다.등록된 객체는 스프링이 대신 생성하고, 의존성을 주입해주고, 필요한 기능(트랜잭션, 테스트, AOP 등)을 연결해준다. 객체 등록 = 빈 정의2장에서는 이 컨텍스트에 객체를 추가하는 방법, 즉..

CS/Spring 2025.08.02